마음 인류학
.
[마음인류학 에세이(2)] 번역하다
번역하다
주제문: 오염시키고 조율하다
본문 1: 확장(원본과 같게 재생산)하는 방식으로 번역하다
본문 2: 차이를 통해 새로운 배치를 생성하는 번역
본문 3: 관계를 만들고 선물하는 번역
결론: 오염된 다양성을
나는 <인문공간세종>의 영어 번역 코너에서 필리프 데스콜라의 『자연과 문화 너머』를 번역하여 함께 읽는 세미나를 담당했었다. 세미나 참여자들과 서문, 추천사를 포함해서 3장의 앞부분을 1년 10개월에 걸쳐 번역했었다.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일은 100여 쪽의 페이지를 무려 8번의 시즌에 걸쳐 세미나를 해야 할 만큼 오랜 시간이 걸렸고 힘이 들었다. 그래서인지 세미나를 6명이 시작했는데 7번째 시즌부터는 3명만 함께 했다.
한 나라의 언어를 다른 나라의 언어로 바꾸는 번역은 영어 단어를 단순히 그 의미에 대응되는 한국말로 교체하는 단순한 일이 아니었다. 문장의 내용은 그 문장을 구성하는 영어 단어가 뜻하는 바를 순서대로 결합해서 도출되지 않았다. armchair anthropology는 안락의자 인류학으로 해석되지만, 안락의자의 문화적 의미를 알아야 제대로 번역할 수 있다. 역사적인 의미를 이해하고 앞 문장과 단락에서 사용된 의미와 연관시키고 뒤의 나오는 내용을 통해 그 의미를 재확인해야 했다. 또한 영어 단어를 대체할 수 있는 국어 단어의 선택에서도 의미들의 미묘한 차이를 감각 해야 했다. 그렇게 구성된 번역문은 원문과 완벽하게 가깝다고 할 수 없는 제일 나은 선택들의 조합이었다.
『세계 끝의 버섯』에서 사쓰카 시호의 정의에 따르면 번역은 하나의 세계–만들기 프로젝트를 또 다른 세계–만들기 프로젝트에 끌어당기는 것이라 한다. 만들어 가는 과정 중에 있는 하나의 세계를 만들어 가는 과정 중에 있는 또 다른 세계와 마주치게 하여 오염시키고 오염당하게 하는 것이 번역이라는 말이다. 영어를 한국어로 바꾸는 언어적 번역에서 하나의 세계(영어)가 또 다른 세계(한국어)를 끌어당겨 둘 사이에(맞나?) 부분적인 조율이 일어난다. 조율과 오염이 번역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일어난다면, 원작 또는 번역하고자 하는 대상과 100% 순도로 같게 번역되는 결과물은 없을 것이다.
번역이 원문의 의미를 동일하게 재현하는 일종의 복제품을 만드는 게 아니라면 번역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애니 칭의 『세계 끝의 버섯』을 통해 번역이라는 행위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확장하는 것으로의 번역
애니 칭은 어떤 프로젝트가 그 틀에 아무런 변화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규모를 순조롭게 바꿀 수 있는 능력을 확장성(scalability, 81쪽)이라고 정의했다. 상품이 만들어지고 그것이 돈으로 교환되는 방식이 자본주의의 틀이라 할 수 있다. 그 틀은 상품의 종류와 규모만 다를 뿐 전 세계 어디서나 통용되고 반복된다. 내가 했던 책의 번역 작업에서 틀이란 책의 내용일 것이다. 책의 내용을 구성하는 단어와 문장이 그대로 다른 언어로 교환되는 방식은 틀에 아무런 변화를 주지 않는다. 위의 armchair anthropology를 안락의자에 앉아 있는 인류학자로 직역하게 되면 해석하는 오역이 생긴다. 동질화하는 관리 가능한 원문이 씌여진 장소와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대해 질문하지 않는다. 원작이 마치 풍경에서 홀로 자생했다는 듯이 (397쪽 참고)
원문은 남아메리카의 부족민과 같이 살면 조사한 내용을 전달하는 인류학적 보고서이자, 미술의 화풍의 변화, 자연과 문화에 대한 사고 체계에 대한 철학의 고찰이 서로 얽혀있다. 저자가 프랑스 출신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