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2장 야생과 길들여진 것(2/17)
거북이 잉글리쉬 (매주 월요일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의 번역입니다. 오선민 선생님, 이종은 선생님, 조재영 선생님, 최경미 선생님, 최옥현 선생님, 윤연주가 함께 번역했습니다.
□ 책의 목차
Ⅰ. 눈속임하는 자연
1. 연속성의 구성
2. 야생과 길들여진 것 유목의 공간들 / 정원과 숲 / 초원과 논 / 설비와 숲 / 목동들과 사냥꾼들 / 로마의 풍경, 허시니아의 숲, 낭만적 자연
3. 대분할 풍경의 자율성 / 퓌시스의 자율성 / 창조의 자율성/ 자연의 자율성/ 문화의 자율성 / 이원론의 자율성 / 세계의 자율성
Ⅱ. 관습의 구조
4. 관습의 스키마 구조와 관계 / 익숙한 것을 이해하기 / 스키마티즘 / 차이화, 안정화, 유추
5. 자기와의 관계와 타인과의 관계 식별의 양식과 관계의 양식 / 타자는 나
유목적 공간
상식만큼 더 상대적인 것은 없는데, 특히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공간의 인식과 사용에 적용될 때 그렇다. 우선, 야생과 길들여진 것 사이의 대립은 신석기 시대의 전환 이전 시기, 즉 말하자면 인간 역사의 대부분 동안에 조금의 의미도 없었다. 그리고 비록 우리 구석기 시대 조상들의 사고방식에 접근하기는 어렵더라도, 우리는 적어도 우리 시대의 수렵채집자들이 그들의 환경 안에서 사는 방식을 사고할 수 있다. 그들이 번식과 수를 통제할 수 없는 식물과 동물들로 근근이 살아가면서, 그들은 때때로 풍부하지만 종종 다른 장소들과 다양한 계절에 따라 불평등한 방식으로 분배되는 자원의 변동에 따라 여기저기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허드슨 만의 북서쪽에서 수백 킬로미터에 걸쳐 유목민 생활을 하는 넷실리크Netsilik 에스키모인들은 그들의 일 년을 적어도 5개 또는 6개의 다른 단계들로 나눈다. 늦겨울과 봄에 그들은 얼어붙은 바다에서 바다표범을 사냥하고 여름에 그들은 내륙의 강들을 가로질러 둑을 만들어 물고기를 잡으며 초가을에 그들은 툰드라에서 순록을 사냥하고 10월에 그들은 최근에 얼어붙은 강을 덮고 있는 얼음에 구멍을 뚫어 물고기를 잡는다. 물론 이 모든 과정에는 에스키모인들이 새로운 장소에 익숙해지거나 과거 방문에서 기억된 장소로 되돌아가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대규모 이동을 해야 하는 일이 요구된다. 그 기후의 반대쪽 극단에서, 보츠와나의 !쿵산족에게 기동력의 한계는 더 제한을 받는데 건조한 칼라하리 환경에서, 그들은 어딘가 살 곳을 마련하기 위해 물에 대한 접근에 의존한다. 그들에게, 에스키모족의 집단 이동성은 선택할 수 없어서 각 그룹은 물에 영구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장소 근처에 정착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개인들은 다양한 캠프를 순환하면서 끊임없이 이동하며, 그래서 그들 삶의 대부분을 익숙하지 않은 장소들로 이동하며 보내고, 그들은 모든 구석구석을 배워야만 한다. 그것은 또한 이투리 숲의 밤부티 피그미BaMbuti Pygmies의 경우이기도 한데, 비록 각 그룹이 그 경계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특정한 구역에서 성공적으로 캠프를 설치하더라도, 그들의 그룹과 사냥 집단의 구성은 1년 동안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적도의 숲이든, 최북단이든, 남아프리카의 사막이든, 호주 중심이든 오랫동안 아무도 수렵민들에게 주장할 생각조차 하지 못했던, 이 모든 소위 변두리 지대에서 그 사람들과 그들이 자주 찾는 장소 사이의 동일한 관계가 항상 우세하다. 그들의 공간 점유는 어떤 고정된 지점에서 널리 퍼져나가지 않는다. 대신, 그것은 다소 임시적이고 다소 반복적인 정류 장소들로 표시되고 강조되는 이동 경로의 네트워크를 통해 발생한다. 모스Mauss가 이미 20세기 초에 에스키모와 관련하여 주목했듯이, 대부분의 수렵채집 민족은 연간 주기를 두 단계로 나누는데 이동 중에 소규모 팀으로 분산되는 기간과 보다 강렬한 사회생활과 엄청난 집단의식을 수행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장소에 모두가 모이는 짧은 기간이다. 그럼에도 이 일시적인 모임을 마을 생활과 유사하게, 즉 그들이 주변 영토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재활성화되는 중심으로 간주하는 것은 비현실적일 것이다. 분명 환경은 익숙하고 매번 즐거움으로 재발견되지만, 그들의 재개된 점유는 일 년의 나머지 기간에 사람들이 방문하는 장소의 거친 무질서와 대조되는 길들어진 공간으로 바꾸지 않는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32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2장 야생과 길들여진 것(6/17)
오월연두
|
2025.02.02
|
추천 0
|
조회 14
|
오월연두 | 2025.02.02 | 0 | 14 |
31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2장 야생과 길들여진 것(5/17)
오월연두
|
2025.01.26
|
추천 0
|
조회 27
|
오월연두 | 2025.01.26 | 0 | 27 |
30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2장 야생과 길들여진 것(4/17)
오월연두
|
2025.01.19
|
추천 1
|
조회 33
|
오월연두 | 2025.01.19 | 1 | 33 |
29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2장 야생과 길들여진 것(3/17)
오월연두
|
2025.01.12
|
추천 0
|
조회 44
|
오월연두 | 2025.01.12 | 0 | 44 |
28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2장 야생과 길들여진 것(2/17)
오월연두
|
2025.01.05
|
추천 0
|
조회 66
|
오월연두 | 2025.01.05 | 0 | 66 |
27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2장 야생과 길들여진 것(1/17)
오월연두
|
2024.12.30
|
추천 0
|
조회 74
|
오월연두 | 2024.12.30 | 0 | 74 |
26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22/22
오월연두
|
2024.12.22
|
추천 0
|
조회 40
|
오월연두 | 2024.12.22 | 0 | 40 |
25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21/22
오월연두
|
2024.12.15
|
추천 0
|
조회 60
|
오월연두 | 2024.12.15 | 0 | 60 |
24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20/22
오월연두
|
2024.12.08
|
추천 0
|
조회 72
|
오월연두 | 2024.12.08 | 0 | 72 |
23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19/22
오월연두
|
2024.12.01
|
추천 0
|
조회 52
|
오월연두 | 2024.12.01 | 0 | 52 |
22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18/22
오월연두
|
2024.11.24
|
추천 0
|
조회 64
|
오월연두 | 2024.11.24 | 0 | 64 |
21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17/22
오월연두
|
2024.11.17
|
추천 0
|
조회 61
|
오월연두 | 2024.11.17 | 0 | 61 |
20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16번째
오월연두
|
2024.11.10
|
추천 0
|
조회 76
|
오월연두 | 2024.11.10 | 0 | 76 |
19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15번째
오월연두
|
2024.11.03
|
추천 0
|
조회 110
|
오월연두 | 2024.11.03 | 0 | 110 |
18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14번째
오월연두
|
2024.10.27
|
추천 0
|
조회 204
|
오월연두 | 2024.10.27 | 0 | 204 |
17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13번째
오월연두
|
2024.10.20
|
추천 0
|
조회 172
|
오월연두 | 2024.10.20 | 0 | 172 |
16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12번째
오월연두
|
2024.10.13
|
추천 0
|
조회 119
|
오월연두 | 2024.10.13 | 0 | 119 |
15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11번째
오월연두
|
2024.10.06
|
추천 0
|
조회 163
|
오월연두 | 2024.10.06 | 0 | 163 |
14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10번째
오월연두
|
2024.09.29
|
추천 0
|
조회 173
|
오월연두 | 2024.09.29 | 0 | 173 |
13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9번째
오월연두
|
2024.09.23
|
추천 0
|
조회 181
|
오월연두 | 2024.09.23 | 0 | 181 |
12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8번째 (1)
오월연두
|
2024.09.15
|
추천 0
|
조회 113
|
오월연두 | 2024.09.15 | 0 | 113 |
11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 7번째 (1)
오월연두
|
2024.09.08
|
추천 0
|
조회 123
|
오월연두 | 2024.09.08 | 0 | 123 |
10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_6번째
오월연두
|
2024.09.02
|
추천 0
|
조회 215
|
오월연두 | 2024.09.02 | 0 | 215 |
9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_5번째 (1)
오월연두
|
2024.08.25
|
추천 0
|
조회 173
|
오월연두 | 2024.08.25 | 0 | 173 |
8 |
[필립 데스콜라, 『자연과 문화의 저편』] 1장 연속성의 구성_4번째
오월연두
|
2024.08.18
|
추천 0
|
조회 175
|
오월연두 | 2024.08.18 | 0 | 1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