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브로니슬라브 말리노프스키

Bronislaw Kasper Malinowski

[산호섬의 경작지와 주술] 11장 발제, 수많은 땅의 주인들

작성자
오켜니
작성일
2025-03-18 17:50
조회
22

동화인류학 6번째/25.3.18/최옥현

 

수많은 땅의 주인들

 

  말리노프스키는 산호섬의 경작지와 주술11장에서 영국이 토착민들의 토지 보유 개념을 이해하지 못해 토지 정책에서 실패했고 수많은 인류학 교과서에 토지 보유권의 문제에 대한 언급은 없다고 말한다. 말리노프스키는 인류학자로서 토지 보유권 문제를 정리하는데 사명감을 느낀 것처럼 보이며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실수담을 적고 있다.

  여러 가지 사실들 속에서 귀납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토지 보유권과 같은 문제이다. 토착민들의 말과 행동 속에서 보이지 않는 사실들을 구성하는 것이 인류학자의 역할인데 토착민의 언어를 잘 안다고 해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며 그들의 신화, 정치, 경제, 문화와 가족제도 등 전반적인 현실 속에서 살펴야 한다.

 

 

1. 토지 보유권의 권리주장 목록표

 

권리 번호

권리 주장자

권리 주장자에 대한 설명

권리 내용

1

지구의 족장

오마라카나의 최고 족장, 카브와쿠의 톨리와가 등 정치적 족장들

자신의 지구 전체에 대해 땅의 주인(톨리프와이프와야)으로 일컬어지며, 수확기에 공물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 우리구부의 많은 부분은 이러한 공물들이 차지한다.

2

마을 공동체의 우두머리

한 지구의 중심지 마을에서는 족장이고 다른 마을에서는 지배적인 하위 씨족의 우두머리

모든 마을 토지의 톨리프와이프와야(땅의 주인), 하위 씨족 우두머리의 공물 양은 족장보다 훨씬 더 적다.

3

경작지 주술사

주술사가 2번 족장 역할을 함께 할 수도 있다

주술사는 톨리프와이프와야라고 불린다. 그가 땅의 주인으로서 수고한 대가로 받는 직접적인 물질적 이익은 매우 적지만, 그는 엄청나게 많은 영향력과 부투라(명성)를 가지고 있다.

4

하위 씨족의 우두머리

 

자신의 특별한 밭들에 대한 주인이다. 경작지 회의에서 그가 소유하는 밭들 가운데 하나를 경작하기로 결정되면, 형식적으로 그의 동의가 요청된다.

5

이류 하위 씨족 전체

대부분의 마을들에는 지배적인 하위 씨족 외에도 한두 개의 다른 하위 씨족이 속해 있다.

자신이 속한 하위 씨족이 소유한다고 여겨지는 밭들과 관련해서 땅의 주인이다(45의 경우에 우두머리뿐 아니라 하위 씨족 전체가 부재不在의 지주들일 수 있다)

6

마을 공동체 전체

마을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

하위 씨족과 무관하게 마을의 모든 영토에 대한 권리를 일반적으로 주장할 것이다. 이러한 권리주장은 결코 공허한 것이 아니다. 사냥과 채집과 경작을 위해 공공의 길과 샘 및 그 영토의 대부분을 사용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7

공동체의 개인 구성원들

밭의 모든 소구획은 개인에게 할당된다

소구획을 경작할 권리,

개인 소유자의 소구획을 다른 누군가가 경작하고자 한다면 그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8

실제 경작자

 

한 경작 주기 동안 자신이 경작하는 소구획들에서 전적으로 땅의 주인이 된다

8a

경작 작업조

수많은 사람이 경작 작업조로 조직되어 있으며 땅을 공동으로 개척한다

 

9

경작자의 누이 혹은 다른 여성 친척

 

여성은 자기 몫의 우리구부가 어떤 소구획에서 경작되고 있을 때, 그 소구획을 내 소구획이라고 이야기할 것이다. 경작지가 아닌 경작물에 대한 권리이다.

 

 

2. 권리주장의 바탕에 깔린 신조

 

A. 트로브리안드 토지 보유권의 법적, 신화적 토대는 모계 혈통이 특정한 땅에서 원초적으로 출현했다는 신조에 기반한다.

B. 족외혼과 부거제 혼인법은 원초적 출현 신조와는 무관하다. 하지만 이중적인 방식으로 토지 보유권에 영향을 미친다. (1) 족외혼과 부거제 혼인법은 여자를 그녀 자신의 토지로부터 분리시키지만, 조상의 땅에 대한 그녀의 권리는 우리구부 제도를 통해 인정된다. (2) 족외혼과 부거제 혼인법으로 인해 그녀와 그녀의 자손은 남편 공동체의 비주민 거주자가 되고, 이를 통해 남편의 공동체에서 농경 생산자들의 집단, 곧 경작 작업조에 참여할 권리를 얻는다.

C. 주술사는 그의 주술 덕분에 땅의 진정한 주인이다. 이 신조가 경작 작업조의 통합과 결속에, 토지 보유권에 영향을 미친다.

D. 신분이 지역적 출현의 권리주장보다 중요하다. 실제로 신분이 더 높은 하위 씨족들은 그들의 원래 비옥한 지구들로 점차 이동해왔고, 최고 하위 씨족인 타발루는 농경에서, 정치적·경제적 영향력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모든 중심지를 서서히 점유하게 되었다.

 

신조 A는 법적인 관점에서 볼 때 가장 핵심적이다. 신조 B는 경작을 실제로 조직할 때 이중적으로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 신조 C는 토착민들이 주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사실을 나타내며, 신조 D는 과거의 관행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의 관습에도 영향을 미친다.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