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니슬라브 말리노프스키
[산호섬의 경작지와 주술] 제5부 7-10장 주술 용어의 정리와 해석
주술 용어의 정리와 해석
제 7장 주술 – 주술의 일반 용어
- 메그와 전반적인 설명 (319쪽)
경작지 주술의 단어는 경작지 주술의 고유한 단어가 아니라 오히려 일반적이 주술과 두루 관련된다. (319쪽)
메그와 ‘magic’ 일반적인 용어 – ‘주술적 실천’ ‘주술 의식들과 주문들’ 그 섬사람들에게 알려진 모든 주술.
바이세 메그와, 바이세 갈라 메그와 – 이것은 주술이고, 이것은 주술이 아니다.
- 메그와 토워시 – 주술적 실천
- 메그와 바굴라 – 경작지 주술사의 주술
- 메그와 브와가우 – 경작지 주술
- 메그와 포울로 – 요술의 주술
- 메그와 카빌리아 – 고기잡이 주술
- 카빌리아 라 메그와 – 전쟁의 주술
메그와가 없는 주술 명칭
– 토워시 – 경작지 주술
– 보마 – 전쟁 주술
- 흑주술 – 브와가우
2. 좁은 의미에서 메그와 – ‘주술적 효능’ ‘주술적 힘’ ‘주술적 영향력’ (320쪽)
3. 구체적인 의미의 메그와
다 메그와-시 – 우리의 주술
마-타우-시나 시 메그와 – 이 사람들의 주술
소유대명사 접미사와 (특히 3인칭) 사용 가능
이때 미가바로 바뀜
메그와 예나 (고기잡이 주술) -> 미가바-라 예나
메그와 바굴라 (경작지 주술) -> 미가바-라 바굴루
법적 경제적 소유는 항상 소유대명사와 함께 표현 된다.
올루 메그와 – 나의 주술
다 마그와-시 – 우리의 주술
보마-라 울로 메그와 – 내 주술의 터부 (바기도우)
4. 동사 형태의 주술 (321쪽)
메그와 / 미가이 – 주술을 행하다 / 주술을 읊다.
토워시 이-미가이 바굴라 / 토워시 이-메그와 바굴라
5. 동사
요포이 / 요프위 – 주문이 어떤 대상에 집중해서 읊어진다.
6. 주술의 사악한 형태 / 흑주술
블루브왈라타 / 동사형 불라티
케울로 / 크우 크와워 – ‘운반하다’ ‘가지고 가다.
7. 카리얄라 – 주술의 전조 ‘자연적 사건’ 이변.
주술의 주요용어 (323쪽~)
10. 토워시 – 경작지 주술사 / 경작지 주술 / 경작지 주술 체계
12. 토워시 – 읊조리는 사람
토- ‘인간’ ‘사람’ 워시 ‘노래’ ‘노래와 춤’
*경작지 주술과 워시 춤 노래 사이에서 연관성은 찾아볼 수 없다. 말리노프스키는 읊조리는 사람으로 해석함.
13. 토워시 – 경작지 주술사라는 의미에서 더 자주 등장
일반적 동사들
15. 라 키알레파 바기도우 – 바기도우가 휘두르는 주술
16. 워예 ‘두드리다’ 경작지 주술 실행한다는 일반적인 의미
17. 로바/라바/라비 – 던지다
18. 토워시 이-요우딜라 카이 허브를 모은다.
22. 주술의 도구 / 장치 구조 / 주술용 재료 리스트 (327-337쪽)
제 8장 시작 주술의 예식
- 주술 퍼포먼스를 지칭하는 이름. 주술의 전문용어를 구별 – 다른 모든 의미를 배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캄코콜라 / 케일레파 / 요워타/ 탈랄라 / 바카바일라우
가부 / 로마 / 비타워 / 비타우/ 비파투 / 워예 – 일정한 활동을 나타내는 동사. 일반 용어들이다.
3. 일인칭 포괄적 복수 ‘타-’
타-바굴라 / 타-가부 / 타-워예프와이프와야 ‘그렇게 하는 것이 관습이다’ ‘사람들은 그렇게 한다’ ‘누구나 그렇게 한다’
4. 도구의 접두사 카이-
카-사이보다 / 카이-바푸리
6. 토워시 ‘경작지 주술’ 시간적인 명명법 (344쪽~)
– 이-워예 부야구 ‘그는 경작지 부지를 두드린다.’
– 탈랄라 – 나쁜 나무(카요워타) 나무 (요워타) 자른 넋
- 요워타 – 카요워타 아래의 땅을 문지른다. -> ‘깨끗하게 하다’ ‘땅을 준비한다’ -> 땅을 주술적으로 부드럽고 비옥하게 만드는 행위
- 타-바포풀라 디가다 – 우리는 시든 고사리 다발이 쏟아져 나오게 한다.
- 불루카일레페 – 나흘동안 진행
- 불라케마 – 하루동안 진행
– 블루-/ 불라- / 브왈라 ‘집’
– 블루크와 ‘돼지’
-> 집에 먼저 주술이 거릴고, 두 번째로 도끼가 주술에 걸린다. 주술용 지팡이와 도 끼로 돼지들을 쫓아냄을 의미
15. 경작지의 두 번째 주요 예식 ‘가부’
-첫 번째 의식 바카비일라우 – 대규모 화전 – 치료된 햇불로 덤불치기 된 마른 덤불에 불을 놓는 행위
슬루와 – 횃불을 운반하는 행위 / 일반적으로 ‘실수하다’ ‘정처 없이 걷다’ (맥락은 알 수 없다.)
- 두 번째 의식 기부비야카 – 큰 화전 / 철저한 최종적인 화전
- 펠라카우크와 – 펠라 (배설물) 카우크() – 경멸적 의미
- 칼리마마타 – 칼라 (울타리) 마마타(깨우다) – 울타리의 눈 ‘식량 깨우기’
- 비시콜라 – 타로에 대해 읊는 주문과 의식 – 비시 (꿰뚫다) 콜라 (움켜잡다)
- 캄코콜라 – 세워진 장대
제 9장 성장 주술
- 성장 주술은 좀 더 단순하고, 더 직접적이며, 더 생생하다. 일상적인 담화에서 차용했다. 주문의 목적과 의미와 주술의 성장 단계와 완벽하게 부합한다. (357쪽)
3. 바구리 소불라 – 바구리 (깨우다) ‘싹을 깨우다’
4. 카투사카푸 / 바사카푸 – 등장하게 하다
5. 카이바구리-나 소불라 ‘싹 깨우기 행위’
6. 타-로바 카이다발라 ‘우리는 우두머리 나무를 던진다’
7. 카일라발라 카이다발라 ‘ 우두머리 나무 던지기’
10. 타-사이보다 – 잎을 풍성하게 하는 주문
14. 카사일롤라 – 닻 내리기 / 고정하기
16. 바사카푸 예식– 타이투 등장 땅에서 나온다.
22. 바크와리 ‘붙잡게 하다’
23. 라사와 ‘자리 잡게 하다’ ‘덩이줄기가 자리 잡게 하다’
24. 발루발로바 – 잎을 무성하게 하는 주문 ‘던지다’
25. 요부나톨루 – 똑바로 서 있는 잎이 무성한 집. 톨루 ‘서다’ ‘똑바로 서다’
26. 타타이 타케구다와 타타이 타카투워 – 우리는 잘려나갈 덜 여문 것을 자른다.
27. 이-로바 칼루바코시 – 그는 마지막 막대기를 던진다.
28 바푸리 – 그 식물이 싹을 틔운 후에 덩이 줄기가 잔뜩 쏟아져 나오게 한다.
33. 바캄-시 – 바- ‘의례적으로’ 해석 / 바캄 ‘먹음으로써 개시한다’ -> 효과적으로 먹다.
제 10장 수확 주술과 풍요 주술
- 민족지 정보의 양과 그것에 대한 언어학적 필요성은 거의 반비례한다. (375쪽~)
2. 수확 의식들 – 이수나풀로 / 오크왈라 / 쿰
- 이수나풀로 – 수나풀로 ‘나오다’ 사카푸와 동의어. 수나 – 술루와 ‘실수를 범하다’ / 풀로 ‘도착하다’ 도착하기 위한 길을 찾다.
- 오크왈라 – 오 ‘안에’ 크와리 ‘잡다’ -> 잡을 시간에
– 오크왈라 의식은 타이투가 진실로 즉 정말로 자라서 여물게 하려고 수행된다.
- 툼 – 실제 수확 의식 – 쿰 부부크와 ‘얌 창고의 바닥 누르기’
– 카요-라 타이투 ‘타이투의 목구멍 혹은 목’ / 타무-라 타이투 ‘타이투의 몸통’
14. 사적인 경작지 주술을 묘사하는 일반용어는 존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