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종교 인류학


 

종말론(1)

작성자
coolyule
작성일
2025-09-02 15:02
조회
20

종교인류학 개인과제 20250902 김유리

 

종말론, 끝을 상상한다는 것

 

사전적 정의

 

종말(에스카톤eschaton)

어원: 고대 그리스어 에스카톤 또는 에스카토스에서 온 말. “마지막”이라는 뜻

정의

①(기독교 신학에서) 묵시; 세계가 끝난 직후 신의 도래와 신의 통치 시대; 이러한 시대에 대한 개념 또는 관련된 환경

②역사의 끝이나 완성

 

종말론(에스카톨로지)

정의

①죽음과 같은 최종적인 문제에 대한 교리

②시간의 끝에 대한 학문. 기독교와 이슬람교 신학에 나오는 세계의 끝; 그리스도의 재림, 묵시 또는 최후 심판

 

묵시(아포칼립스)

어원: 고대 그리스어의 가려진 것의 “드러남”에서 유래. 신이 요한에게 계시한 것들의 묘사에서 유래하여 “파국, 세계의 끝”이라는 의미로 확장

정의

①초자연적인 사건들의 예언, 드러남(동의어: 계시)

②큰 재앙, 파국적 사건, 대규모 붕괴와 파괴(유사어: 파국, 홀로코스트, 아마게돈, 지구 종말, 심판의 날, 라그나뢰크)

③(기독교) 요한계시록에 예언된 사건들이 나타남; 재림과 지상의 생명의 종말; 지구 파괴

 

 

 

미르치아 엘리아데의 『세계종교사상사』를 읽다 보니 종말론이라는 용어의 정의가 궁금해진다. ‘에스카톤(종말)’이라는 말은 “마지막”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종말론(에스카톨로지)’은 종말에 대한 종교적 이론들을 지칭한다.

종말론이 다루는 것은 죽음이다. 죽음이라는 것을 성찰해 보자면, ‘살아 있는 것은 모두 죽더라. 그런데 죽은 다음에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를 생각하게 된다. 종교는 그에 대한 답을 하려고 한다. 죽음에 대한 종교적 사유는 “생명의 끝, 그리고……”의 모든 가능성으로 이루어진다. 저승을 여행하고 돌아온 신들과 영웅들, 그리고 샤먼들이 종말론의 여러 가지 시나리오들을 알려준다. 저승 경험담들은 타계(사후세계) 지리학, 육체와 영혼의 분리, 사후의 기억, 죄와 벌, 윤회와 구원의 문제를 다룬다.

종말론의 두 번째 주제는 시간의 끝이다. 시간 속에서 존재하는 것은 세계, 신들, 생명, 인간 모두 소멸한다. 시간은 영원의 반대말이다. 시간 속으로 창조되어 존재하기 시작한 것은 언젠가는 끝을 맞이한다. 종말론은 창조론과 짝을 이룬다. (영원을 창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모든 창조는 종말을 품고 있다. 그 반대도 성립한다. 종말은 창조로 인해 발생한다.

종말론의 시간 관념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시간은 꼬리를 물고 순환한다. 최초에 총체적인 일자의 희생을 통해 다자들이 창조되었다. 창조된 세계는 노쇠를 겪는다. 마지막에 이르면 세계는 최초 희생의 반복을 통해 재생된다. 마치 식물의 주기적인 재생처럼 세계는 죽음(씨앗 상태)을 겪고 다시 소생한다. 순환하는 시간 속에서 우주는 끝과 시작이 맞물려 돌아간다.

둘째, 계획의 완성을 향해 달리는 시간이 있다. 우주가 창조주의 계획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완성하는 지점이 신의 역사의 종언이자 세계의 종말이다. 우리가 아는 세계는 완전히 끝이 나고 그 다음부터는 신의 통치가 시작된다. 유대 묵시문학은 종말이 임박했다는 징조와 세계 전쟁에 대한 예언을 담고 있다. 그래서 종말론은 (예언자가 받은 신의) 계시 또는 묵시(아포칼립스)와 동의어로 사용되곤 한다.

우리의 삶은 시작과 끝으로 가득하다. 일도 관계도 조직도 세미나도 시작과 끝이 있다. 그런데 결과와 상관없는 끝을 상상할 수 있다면 어떨까? 종말론을 담은 신화 속에서 실패하는 신들이 참 많이 나온다. 계획은 틀어지고, 갇히고, 헤어지고, 몸이 찢긴다. 그런데 그들은 우주가 새로 시작될 때 다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승리하는 것보다, 결과와 상관없이 끝을 보는 것이 더 윤리적일 수 있을까? 그러니까, 삶에 대한 더 윤리적인 태도를 창출하는가? 종말론은 끝을 보는 것에 대한 종교적 상상이다. 그런데 종말론은 끝난 다음에 방점이 있는 것 같다. 종말은 창조의 일부분이고, 종말을 통해 창조는 계속된다. 종말론에서 ‘창조는 계속된다’는 메시지를 읽어 본다.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