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인류 문화 답사

한반도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중남부 선사유적 답사기] 죽음으로 재생하다

작성자
오월연두
작성일
2024-09-09 17:19
조회
112

 선사유적 답사기_윤연주 

 

죽음으로 재생하다 

 

  10년 전만 해도 80살까지 살면 장수한다고 생각했는데, 요즘은 90살 넘어 사시는 분들도 많다고 한다. 이렇다 보니 누구는 90살 넘어 사는 게 재앙이라고 한다. 90살이 넘어 사는 것은 개인에게 복 되는 일일 것이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90살 이상의 노인층 인구가 많아지니 주로 노인들에게 적용되는 의료보험과 연금 등의 사회 시스템을 유지하는데 젊은이들의 부담이 예전보다 늘어났다. 사회 시스템의 자원도 인구 감소로 인해 청년층보다 노년층 인구가 많아지면서 한마디로 입금보다 출금이 많은 상태가 되었고 머지않아 고갈된다고 난리다. 인간에게 삶은 개인의 문제임과 동시에 사회적 문제이다. 

  인문공간세종은 이번 여름 부산, 김해, 울진, 단양에 있는 선사유적을 답사했다. 패총유적지, 고분군, 집단 매장지와 여러 박물관을 둘러보며 신석기와 가야 그리고 그 이후 시대 사람들의 매장 방식과 부장품들을 통해 그들의 죽음관을 상상해 볼 수 있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그들은 죽음 이후에 또 다른 삶이 있다고 생각했다는 점이다. 각종 토기, 화살촉, 조개 팔찌와 도끼 등의 다양한 부장품들이 유골과 함께 묻혀있기 때문이다. 

  나는 죽음 이후에 세상이 있다고 믿지 않는다. 그렇다고 없다고 확신하지도 않는다. 지금 이 순간을 사는 와중에 과거와 오지 않은 미래에 대해 생각하면서 살아갈 뿐이다. 죽음은 나에게 삶의 마침표이다. 죽음 이후에도 지금 사는 세상이 아닌 다른 세계에서 삶이 이어질 거라는 생각은 해보지 않았다. 그런데 한반도에 살았던 우리 선조들은 나와 다르게 죽음 이후에도 삶이 이어진다고 생각했던 것 같았다. 그들이 죽음을 어떻게 다루었는지 살펴보면서 나는 삶을 다시 보기 위해 죽음에 대해 좀 더 깊이 알아보고 싶어졌다.  

 

조개 쓰레기와 유골의 합장 

  한반도에서 발견된 500여 개의 패총(조개무지)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은 부산 동삼동 패총이다. 이곳은 우리나라 신석기를 대표하는 패총으로 약 6,000년 전부터 2,000년 전 사이에 만들어졌다. 이 패총은 신석기 조기, 전기, 중기, 후기, 말기의 5개 문화층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주거지와 독무덤, 1,500여 점에 달하는 조개 팔찌와 패(貝) 제품, 불탄 조와 기장, 숫돌, 낚싯바늘. 작살, 사슴문양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https://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03219).  

  조개껍데기는 조갯살을 먹고 난 뒤에 나오는 쓰레기인데 이곳에 사람의 뼈가 같이 묻혔다니 의아했다. 현대에서 쓰레기란 어떤 물건이 그 용도에 맞게 사용되고 난 후의 남은 흔적으로 버려지고 제거해야 할 것이다. 먹고 버린 조개껍데기처럼 인골도 생이 다한 후의 쓰레기라 여겨졌던 것일까. 쓰레기란 개념은 상품 사회인 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을 스스로 만들어 사용했던 신석기 시대의 사람들에게 쓰레기란 없었다. 우리는 조갯살을 먹고 남은 껍질에서 새로운 조개가 만들어질 거로 생각하지 않는다. 조개를 먹고 난 후 버린 껍질은 새로운 조개가 탄생하는 재생의 장소가 아니라 잘게 부서져 다른 용도로 쓰이거나 매립되어 오랜 시간에 걸쳐 분해되어서 흙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패총은 음식물들을 먹고 버리는 폐기장으로서의 기능만이 아니라 다양한 동물의 영혼이 깃든 신성한 장소, 사후에 재생의 염원을 담은 장소로 인식되었다고 한다(이상균, 「한반도 신석기 묘제와 사후사회관」, 8쪽). 조개도 죽으면(?) 껍질에서 다시 태어난다고 믿었다면 조개무지에 사냥한 동물의 뼈뿐 아니라 죽은 사람의 뼈를 묻은 것이 너무 이해된다. 동물의 뼈를 묻음으로써 다시 동물로 육화되어 사냥감이 풍부해지기를 사람들은 바랐을 테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다면 살았을 때의 모습이 꼭 아니더라도 다시 살아나기를 고인의 가족과 지인들은 기원했을 것이다. 조개의 뼈, 동물의 뼈, 사람의 뼈를 같이 묻음으로써 재생의 힘이 증폭되어 강렬해지기를 부족원들이 함께 기도하지 않았을까.  

 

죽음과 입문     

 로베르 에르츠는 『죽음과 오른손』에서 말레이제도와 오스트리아 부족들의 죽음을 둘러싼 관념과 관습을 소개한다. 그에 따르면 죽음은 고인의 시신과 영혼, 그리고 살아 있는 자에게 영향을 미친다. 고인의 시신은 사망 직후부터 시체가 완전히 부패해 뼈만 남을 때까지의 임시 장례와 뼈만 남은 후 치러지는 최종 장례로 2번에 걸쳐 처리된다. 부패한 시체는 ’사람을 마비시키는 벼락‘에 비유되는 사악한 기운을 가지고 있어 산 자와 죽은 자 모두를 위협한다고 여겨진다(로베르 에르츠, 박정호 옮김, 『죽음과 오른손』, 문학동네, 14쪽). 고인의 영혼은 시신이 부패하는 동안(임시 장례와 최종 장례 사이) 그가 떠난 세상의 삶을 완전히 끝내지 못하고 배회한다. 살이 모두 썩어 뼈만 남고 나서야 고인은 죽은 자들, 즉 조상들의 세계에 들어갈 자격을 얻게 된다(같은 책, 17~18쪽).  

  말레이제도 부족들에게 죽음은 지속적 과정으로 시체의 부패가 끝나야 완결된다. 죽음은 삶의 파괴가 아니라 새로운 세계로 들어가는 과도기로, 죽음이 진행됨에 따라 재탄생도 진행된다(같은 책, 31쪽). 최종 장례는 고인의 유해를 최종 매장하고 그의 영혼에 안식을 주어 죽은 자들의 세계로 들여보내는 의식이다. (또한 살아 있는 자들을 사회적으로 고인과 같은 상태로 취급당했던 상황에서 해제시켜준다.) 고인의 시체를 정화하고 새로운 옷을 임힘으로써 고인의 과거는 사라지고 고인에게 새롭고 영광스러운 몸이 부여된다. 그 덕에 죽은 자는 조상들의 세계에 들어간다. 새로운 삶에 입문하는 것이다(같은 책, 38쪽). 고인은 조상들의 뼈가 모여있는 곳에 최종적으로 묻힌다. 이제 고인의 뼈는 더 이상 공포와 혐오가 아니라 산 자들에게 풍요와 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경외와 신뢰를 받는 대상이 된다(같은 책, 39쪽).  

  나도 그들처럼 죽음이 삶의 끝이 아니며 죽음 너머에 조상들이 사는 세계가 있고 거기서 새로운 삶이, 그것도 수렵할 수 있는 동물들이 넘쳐나고 먹을거리가 지천에 있는 풍요 속에 재개된다고 생각하니 죽음이 그렇게 두렵지만은 않다. 하지만 죽음의 과정은 고인과 산 자 모두에게 고통스럽다. 고인이 죽음 너머 세계로 들어가려면 살이 썩고 뼈만 남을 때까지의 사회적 죽음의 시간을 1년에서 최장 10년까지 견뎌야 한다. 이 기간에 고인의 가족과 친지들은 고인의 물건이나 사냥터에 접근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금기를 지키는 사회적 죽음 상태에 처하고, 최종 장례를 위한 막대한 비용도 마련해야 한다. 고인을 조상들의 세계에 보내는 데는 고인의 가족과 친지들, 그리고 부족원들의 희생과 배려가 필수적이다. 고인도 사회적으로 자리값을 가지고 평소에 부족원들과 관계를 잘해두었어야 했으리라. 조상들의 세계에 들어갔다고 끝이 아니다. 죽음 너머 세계도 다음 세상으로 넘어가기 위해 잠시 머물다 가는 중간 세계일 뿐이다. 삶은 이 세계와 저 세계를 넘나들며 계속 이어진다.   

 

울진 후포리 유적지 

  이런 사고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는 유적이 후포리에 있다. 후포리 선사유적은 바다쪽으로 돌출한 해안단구 위 등기산 정상부에 위치한다(「한반도 중남부 선사유적 답사 자료집」, (인문공간세종), 9쪽). 유적지에 서면 앞으로는 동해가 펼쳐져 있고 뒤로는 지금의 후포항과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사면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이곳에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망자의 뼈가 씻긴 흔적이 발견되어 2차장으로 추정되는 집단 무덤이 있다. 남녀 약 40명 이상이 묻혀있던 무덤인데 그 위에는 사용 흔적이 없는 자루 없는 돌도끼가 가지런히 놓여 있었다고 한다(같은 자료집, 9쪽). 다른 신석기 무덤과는 달리 단독장이 아닌 집단 매장이며 조개더미에 무덤이 있지 않고 산 정상에 있는 점, 껴묻거리로 토기가 발견되지 않고 매끈하게 다듬은 돌도끼 180여 점이 확인되었다는 점이 특이하다(같은 자료집, 11쪽).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당시 사람들이 일상생활 장소와 구분되는 공간을 매장지로 선택하고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것과 다른 물품을 껴묻는 의식을 치렀던 것으로 추정된다(같은 자료집, 11쪽).

전체 1

  • 2024-09-09 17:20

    마무리를 다 못했습니다. 더 생각해보고 마무리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