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이반 일리치 Ivan Dominic Illich

공생의 삶을 생각하다

 

[젠더(7)] 젠더, 삶의 기술

작성자
coolyule
작성일
2024-10-18 00:27
조회
30

제7장 경제적 중성의 시대

 

젠더와 결혼

〇젠더는 역사적으로 서구의 결혼 제도가 성립되기 이전에 존재하던 남자와 여자의 존재 양식이다.

〇젠더가 있던 시대에 결혼이란 두 개의 친족을 결연하는 동맹이었다.

〇친족간의 결혼 동맹은 거주지(도무스)를 지키고 세금징수자에 대항하는 힘을 유지 강화해야 할 필요에 의해 맺어진다.(저의 해석이 들어간 부분. 켈트 혼인 문화에 대해  나무를 대신해 말하기 296쪽 참조)

〇젠더 붕괴의 긴 시간을 지나면서, 결혼 제도로 묶인 부부는 산업 사회에서 성 역할을 부여받고 임금 노동자와 그림자 노동자로 복무한다.

〇젠더에서 떼어 낸 남자와 여자를 성으로 설명하는 개념을 누가 구성했는가? 그것은 법, 신학, 사회과학, 사회생물학이다.

 

젠더 영역

〇젠더는 공간, 시간, 기술을 나누는 일이다.

〇젠더는 남자와 여자의 영역을 분리하고 경계선을 유지한다.

〇남자 집단과 여자 집단은 언어, 행동, 도구, 장소, 순서 등 모든 분야에서 영역을 분리한다.

〇분리된 두 영역을 결합하여 하나의 전체를 구성한다. 그 조합 방식이, 고유하고 다양한 토박이 문화들이다.

 

젠더 파괴와 부부 공동 생산의 시대의 산고(産苦)

〇독일 뷔르템베르크 지역의 한 루터교 마을에서 이혼 신청이 급증한 사례(1800~1850)가 있었다.

〇자급자족 농사에서 환금 작물을 기르는 생산방식으로 전환하던 과도기의 사태다.

〇최초로 ‘젠더 없는 작업’이 부과되자 남자와 여자가 보인 반응과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1)환금 작물 농사가 자급 농사보다 노동집약적(손이 많이 필요해짐)

(2)집에서 길러먹던 것을 사먹게 되어 생활비를 벌어야 했음(텃밭의 다양한 작물이 판매용 작물 밭으로 단작화)

(3)여자들이 과수원 등에서 남자들 틈에 끼어 노동을 해야 했음

(4)여자들이 부엌일을 더 많이 더 빨리 해야 했음

(5)여자들이 난생 처음 일터에서 남자들의 지시를 받게 되어 불평을 터뜨림

(6)여자들이 자기 영역을 상실한 데 분개

(7)남자들은 쟁기의 리듬에 따라 일하고 주막에 가서 놀았음

(8)여자들은 괭이를 놓자마자 서둘러 집에 가서 부엌일을 해야 돼서 불평

(9)상대 젠더의 일과와 리듬에 대한 질시, 선망, 경쟁심 발생(근대적 현상)

(10)노동에 성 구별이 있을 수 없다는 근대적 가정으로 상황이 정당화됨

(11)남자들은 아내를 자기 엄마(젠더 있는)와 비교

(12)예전 식단(엄마의)이 더 좋았고, 지금은 국수(슈페츨레)만 먹는다고 불평

(13)결과는 이혼 신청 급증

 

조작된 성의 계보학

〇성은 젠더에서 기원하지 않는다.

〇젠더와 성은 서로 다른 모체로부터 태어났다.

〇성의 모체는 어머니 교회다.

〇젠더의 모체는 신화적 세계이다. 켈트 신화의 여성 숭배 

“하얀 여신” “거대하게 벌어진 주목 줄기 위의 바위틈에 자리한 잠자는 일곱 은자의 동굴”(!?!)

〇두 모체는 남자와 여자에게 각각 다른 힘을 부여한다.

〇어머니 교회가 남자와 여자에게 부여하는 힘과 ‘동굴 여신’이 남자와 여자에게 부여하는 힘은 상이하다.

 

경제의 전쟁터에서 벌어지는 성 대결과 성 차별

〇젠더가 다스리는 곳에서 남자와 여자는 휴전중이다.

〇경제가 다스리는 곳에서 남자와 여자는 항상 전쟁중이다.

〇경제학이라는 이름의 전쟁터에서 여성 집단은 패자다.

〇성차별에 맞서려면 경제 영역을 축소해야 한다.

〇경제 영역이 축소될수록 성차별을 줄일 수 있다.

〇경제 영역이 축소된 분야에서는 집단으로서의 여성이 자기 결정권을 더 가질 수 있다.

〇경제 영역이 축소된 분야에서는 남자의 영역과 여자의 영역을 분리하는 것이 성차별이 아니다. 오래된 삶의 기술이다.

 

무엇에 저항해야 하는가?

1. 성차별주의

2. 환경 파괴

3. 필요에 대한 상품과 서비스의 근본적 독점

 

그러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1. 경제 축소

2, 공유(the commons) 회복

 

결론

〇젠더에 기초한 자급자족적 사회가 희소한 생산품에 의존하는 사회로 역사적 이행을 했다.

〇현대 사회는 인간을 욕망하는 경제적 중성이라고 본다.

〇현대 인간관의 가정에 따르면 인간은 개별적으로 살아간다. 소유하는 존재다. 물질적 생존의 측면에서 젠더 없는 존재다.

〇이 가정은 학교 제도와 결혼 제도로 구현된다.

 

〇수도사와 시인이 하는 방식으로 (젠더 사회의) 죽음을 관조하라.

〇경제적 성이 제공하는 안락함에 길들어 있는 자신을 응시하라.

〇현대를 살아갈 삶의 기술을 회복하라.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