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인류학 탐구생활》 편집실

답사 가고 글을 쓰고!

 

[인류학을 나눌레오] 노동의 의미

작성자
최수정
작성일
2024-12-09 22:53
조회
67

2025. 1월 글바다

 

노동의 의미

2024.12.9. 최수정

 

주제문: 노동은 인간을 생산한다.

글의 취지: 원시 노동과 현대 노동의 차이로 인간성과 노동의 관계를 생각해보자.

 

나에게 노동, 일이란 먹고 살기 위해서 하는 행위다. 먹고 살기 위해 돈이 필요하고 돈을 위해 일을 해야 한다. 설혹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도 부가적으로 돈이 따라오는 사람도 있을 수 있지만, 우선 돈을 벌기 위해 일을 한다는 생각이 먼저 떠오른다. 돈이 충분하면 일을 하지 않아도 되고, 노동할 시간에 자유롭게 취미 생활을 즐기며 살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내가 노동을 부정적으로 여기고 행복을 느끼는 행위가 아니라 어쩔 수 없는 고행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서태평양의 항해자들트로브리안드인들이 식용작물을 얻는데 필요 이상의 노동을 하여 잉여를 생산하고 있는 모습은 전혀 고행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그들의 노동은 많은 부분이 실용적이기 보다는 심미적 측면에 투입된다. 밭을 깨끗하게 하고 산뜻하게 보이도록 만들고, 깔끔하고 튼튼한 울타리를 치며 강하고 큰 나무 지지대를 설치하는 등 밭을 보기 좋게 가꾸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을 바친다. 비실용적 요소들이 오직 장식과 주술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습도 보인다.

트로브리안인들에게 일과 노력은 그 자체가 목적이 된다. 어떻게 하면 잘해볼지 고민하며 일이 끝나지 않는다. 노동을 통해 자연물의 질을 향상시키고 미적 아름다움을 더하는데 긍지를 느낀다. 과잉생산된 잉여물은 다른 사람을 주며 그들이 원하는 것은 부의 축적이 아니라 명성이다. 실용적인 의미에서는 이익을 챙기지 못한다 하더라도, 경작자는 그의 경작 규모와 수확의 양과 질적인 면을 통하여 직접적이고 상황에 맞는 굉장한 칭찬과 명성을 얻는다.

이들의 노동은 내가 생각하고 있던 노동과 너무도 다른 모습이다. 이들은 매우 복잡한 사회적·전통적 성격의 동기에 이끌려 일을 한다. 그들은 현재의 욕구만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또는 눈앞의 이익추구에만 급급하거나, 실용적 목적의 달성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 그들은 전통의 힘, 의무, 주술에 대한 신념, 사회적 야망과 허영 등 복잡한 요인이 결합되어 이것들이 그를 일하도록 유도한다.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