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니슬라브 말리노프스키
[산호섬의 경작지와 주술]제5장 주문 “그들은 타로를 토하네”
동화인류학 『산호섬의 경작지와 주술』 제5장 주문 김유리 2025-3-11
제5장 수확기
2. 예비 경작
“바기도우는 자신의 집에서 다음의 말로 진주 조가비에 마법을 건다.”(377)
<문구 25>
1. “보름달이여 여기에! 보름달이여 그때, 보름달이여 여기에 영원히.
북쪽에서 둥글게 하라, 남쪽에서 둥글게 하라.
남쪽에서 둥글게 하라, 북쪽에서 둥글게 하라.
타로를 둥글게 하라.”
2. “타로를 둥글게 하라, 타로를 둥글게 하라…….
내 타로의 배여, 타로를 둥글게 하라, 타로를 둥글게 하라…….
내 타로 줄기의 밑동이여, 타로를 둥글게 하라, 타로를 둥글게 하라…….
내 타로의 싹이여, 타로를 둥글게 하라, 타로를 둥글게 하라…….
내 타로 덩이줄기의 기반이여, 타로를 둥글게 하라, 타로를 둥글게 하라…….
내 타로의 잎들이여, 타로를 둥글게 하라, 타로를 둥글게 하라.”
3. “그들은 타로를 먹네.
그들은 타로를 토하네.
그들은 타로에 넌더리가 나네.
그들의 눈은 타로를 너무 많이 먹어서 화끈거리네.
그들의 마음이 타로에서 돌아서네.
경작지에서 썩고 있는 타로에서 투바타우 잡초가 자라네.
푸푸투마 잡초는 그 위에 열매를 맺네.
내 경작지의 배가 다듬는 판처럼 매끈해지네
내 경작지의 배가 쾅쾅 치는 판처럼 매끈해지네.
내 경작지의 배의 구멍들은 맹그로브의 몰러스크가 진흙 속에 뚫는 구멍들과 같네.”
“나는 타이투를 싣고 마을에 갈 것이로다.”
——–
“(바기도우는) 조상의 영들에게 다음의 짧은 진언(眞言)을 읊조린다.”(381)
<문구 26>
“지난해의 음식을 버립시다. 오 노인들이여, 그 대신 새로운 음식을 먹읍시다.”
3. 주요 농작물의 수확 의례
“그는 레이워타부터 시작해서 모든 발레코(소구획)에 오크왈라 주문으로 마법을 건다.”(386)
<문구 27>
1. “돌고래여 여기에 지금, 돌고래여 여기에 항상!
돌고래여 여기에 지금, 돌고래여 여기에 항상!
남동쪽의 돌고래여, 북서쪽의 돌고래여.
남동쪽에서 놀아라, 북서쪽에서 거기서 놀아라, 돌고래가 노는구나.
돌고래가 노는구나!”
2. “돌고래가 노는구나!
내 카이살루, 가지가 뻗은 나의 버팀대에서, 돌고래가 노는구나.
내 카이부디, 기대어 있는 나의 뻗어오르게 하는 막대기에서, 돌고래가 노는구나.
내 캄투야, 덤불치기에서 살아남은 나의 줄기에서, 돌고래가 노는구나.
내 툴라, 나의 분할 막대기에서, 돌고래가 노는구나.
내 예예이, 나의 작고 가느다란 버팀대에서, 돌고래가 노는구나.
내 탐크왈루마, 나의 가벼운 얌 장대에서, 돌고래가 노는구나.
내 카바탐, 나의 튼튼한 얌 장대에서, 돌고래가 노는구나.
내 카이발릴루와, 나의 큰 얌 장대에서, 돌고래가 노는구나.
내 투쿨룸왈라, 나의 경계선에서, 돌고래가 노는구나.
내 카리비시, 나의 경계 삼각형에서, 돌고래가 노는구나.
내 캄코콜라, 나의 주술적 프리즘에서, 돌고래가 노는구나.
내 카이누타탈라, 나의 마법에 걸리지 않은 프리즘에서, 돌고래가 노는구나.”
3. “내 경작지의 배가 부풀어 오르네,
내 경작지의 배가 올라오네,
내 경작지의 배가 가라앉네,
내 경작지의 배가 덤불암탉 둥지만큼 크게 자라네,
내 경작지의 배가 개미탑처럼 자라네,
내 경작지의 배가 올라오고 그리고 굽어지네,
내 경작지의 배가 단단한 야자나무처럼 올라오네,
내 경작지의 배가 가라앉네,
내 경작지의 배가 솟아오르네,
내 경작지의 배가 아이처럼 솟아오르네.”
5. 농작물 들여오기
“마을에 가까워질수록 운반자들은 한 줄로, 혹은 수가 매우 많을 경우에는 종대로 걸어가면서 속도를 점점 빨리하다가, 나중에는 메기고 받는 소리를 활기차게 외치면서 마을로 뛰어 들어간다. 한 남자가 어떤 말들을 외치고 나머지 사람들은 귀에 거슬리는 높은 소리로 ”위!”라고 합창한다.”(401)
선창자 : 오시브와니-브와니요요!
시다구-다구리나!
야키코이!
합창 : 위!
선창자 : 야키코이!(4~6번 반복)
합창 : 위!
선창자 : 시얄로이!(위와 마찬가지로 반복)
합창 : 위!
선창자 : 이요노이!(반복)
합창 : 위!
선창자 : 사이셀로이!(반복)
합창 : 위!
선창자 : 봄고이!(반복)
합창 : 위!
선창자 : 요나코이!(반복)
합창 : 위!
선창자 : 워에카요이사 타이투!
합창 : 유후후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