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니슬라브 말리노프스키
[산호섬의 경작지와 주술 3] 5부 4-6장 “우리는 경작한다”
『산호섬의 경작지와 주술③』 5부 4~6장 발제 2025-4-8 김유리
6부 키리위나의 농경 언어 집성
혹은 경작지의 언어
#우리는_경작한다
#We_garden
#카-바굴라-시
4장 농작물: 마을 숲의 나무와 식물
1~14절 경작되는 나무인 코코넛(누야, 루야)과 빈랑(부아) 야자나무에 관한 용어들
〇중요한 나무일수록 관련 언어가 세분화되어 있다.
〇중요한 나무일수록 고유한 부분명이 있다.(예: ‘잎’이라는 일반명이 아닌 ‘코코넛 잎’이라는 고유명을 별도로 사용)
〇타부
-‘성스러운’, ‘금지된’, ‘조상의’라는 의미로 사용
-1918년으로부터 사반세기 전부터 유럽 선교사들과 피지 교사들이 종교 교육을 위해 폴리네시아 단어를 도입한 영향으로 사용되는 말
〇백인 문화의 용어들과 “멋진 키리위나식 발음”(255)
팔라티 : 빌어먹을(블러디)
사나파피티 : 개새끼(손오버비치)
포키요우 : 엿 먹어라(f—유)
15~16절 바나나(우시) 나무
〇대표 품종 10가지를 소개함. 선호도, 나무 형태, 열매 형태, 맛, 질감, 향기, 요리법, 신화 등의 차이
17절 경작지 바깥에서 자라는 식용 나무, 덩굴식물, 뿌리식물
〇몰루 때 먹는 종류, 족장에게 터부인 종류들 포함
〇한 해 내내 먹을 수 있는 나무도 있고, 특정 달에 꽃이 피거나 익어 토착 ‘나무 달력’이 되는 경우도 있음
〇토착 식물학은 생존 기술. 경작지 중심에서 마을 숲으로 갈수록 야생성과 다양성이 커지고 노동집약성이 낮아짐
5장 트로브리안드 농경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
〇경작 관련 일반 용어와 전문 용어들
1절 바굴라(garden)
〇우리 책에서 “경작지”라고 번역되는 용어. 동사로 사용할 수 있음
마타시나 시 바굴라 비-쿠그워
이 그들의 경작지 그의 최우선
(이 사람들에게는 자기 경작지가 최우선이다. 즉 이들은 농경 공동체다.)
야카마이시 카-바굴라-시 마타우시나 이-포울라-시
우리 자신 우리는 경작한다 이 그들은 고기잡이 한다
〇배제적 복수형 우리와 포괄적 복수형 우리의 차이
카-바굴라-시
우리는(너희는 아니고) 경작한다
다-바굴라-시
우리는(너희를 포함해서) 경작한다
(이방인도 그들의 “자존심과 영광의 대상”(266)인 농경에 대해 소유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예의상 인정해 준 표현)
2절 토워시
〇경작지 주술 또는 경작지 주술사
〇한 공동체의 경작에 대해 말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어. 토착민들은 타 공동체에서 온 이방인을 만나면 경작지 주술을 비교하고 싶어할 것이다.
3~8절 몰루/말리아 대조어
〇말리아 : 풍요, 번영; 풍요로 인한 안녕; 풍요로운 시기(계절, 해), 풍요로운 식량
〇몰루 : 부족, 굶주림, 기근
9~12절 타이투(작은 얌)
〇(1)덩이줄기 (2)식물 (3) 선택된 덩이줄기 (4) 농작물 (5) 해(year) <- 시간을 경작 절기에 따라 측정함
13절 토크와이바굴라/토부구마타
〇토크와이바굴라 : “훌륭한 경작자”라는 뜻인데, 경작 종사자임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탁월함”을 표현하는 말
〇반대말 토부구마타는 “가난한 경작자.” 도덕적 판단이 들어 있음. 게으르고 나태하고 쓸모없고 대체로 무능한 개인을 지칭하는 일반용어. 이에 비해, 다른 직능 영역에서는 서투르다고 해도 도덕적 뉘앙스가 포함되지 않음.
25절 선물 혹은 보수를 의미하는 표현들
〇소우술라 : 공동체 구성원이 경작지 주술사에게 바치는 구구아(평범한 선물)와 바이구아(귀중품)
〇시부기보기 : 밤에 제공되는 큰 선물(? 287)
-> “…예식용 큰 도끼날, 원반 모양 조가비가 달린 허리띠나 장신구, 혹은 조가비 팔찌 한 쌍 등, 시부기보기라고 불리는 귀중품 선물… 이러한 선물은 보통 불운한 계절이 지난 후 그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혹은 특별히 풍요로운 수확기에 감사를 표시하기 위해서 제공” (①권, 182쪽)
〇울라울라 : 조상의 영들에게 바치는 공물; 주술사에게 바치는 선물; 경작 개시 공물; 새 무덤에 첫 열매의 봉헌
6장 농경 기술과 농기구
1~3절 추상과 구체
〇키리위나에 ‘노동(일, work)’과 같이 추상적 개념을 가리키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경작하다’, ‘고기잡이 하다’, ‘상어를 큰 갈고리로 잡다’, ‘조각하다’, ‘밧줄 꼬다’, ‘사냥하다’ 같은 구체적인 작업 동사들이 있다. 덤불치기, 화전, 밭 정리, 파종, 버팀대 세우기 등 경작 활동을 서술하는 구체적인 농경 작업 단어들도 많이 있다.
5~9절 경작 도구
〇땅 파는 막대기, 도끼, 까뀌, 홍합 조가비, 진주층 조가비, 인간의 손(야마) 등 여섯 가지
〇다이마 : 끝을 뾰족하게 깎은 막대기. 땅에 구멍을 팜
〇케마 : 끝이 뾰족한 돌에 자루를 단 것. 부수거나 자름. 돌로 만든 도구를 모두 케마라고 부를 수 있음
〇리고구 : 편평하고 잘 갈아낸 날을 수평으로 쳐서 뿌리를 자르고 막대기 끝을 깎음
〇카니쿠 : 홍합 껍데기로 뿌리를 자르거나 덩이줄기의 잔털을 긁음
〇카예키 : 진주층(mother-of-pearl) 조개껍질을 연마
27절 외침소리
〇경작 활동 중, 특히 공동 노동이 이루어질 때 외침소리들이 수반된다. 선율이 있거나, 간헐적이거나, 새소리를 흉내 내거나, 높은 소리
-일반 명사는 틸라이키키
-타이투를 파종할 때 “우리는 타이투에 소리친다”고 외침
-코코넛터부 예식에서 손을 입에 대고 치면서 내는 날카롭고 간헐적인 소리
-우리구부 운반 시 마을로 뛰어 들어오며 외치는 높은 소리
-> 경작 활동에 외침소리가 있는 것이 흥미롭다. 내 주변에서는 경작지의 외침소리로 새 쫓는 소리 “휘이~”와 못줄 넘기는 소리 “자아~”가 남아 있는 것 같다.